[주민자치활동가 인터뷰45]주민자치회, “이제 정책을 제안하는 총회 만들어보자”홍수만 성북마을살이연구회 대표를 만나다“지난 10여년간 마을이 양적으로 확장된 것은 분명합니다. 이제는 (마을활동을) 단계적으로 진행하고 성과들을 주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형태로 더 많이 만들어가야 할 때라고 봅니다.” 홍수만 성북마을살이연구회 대표는 지금 마을 앞에 닥친 높은 파고를 ‘퇴행이 있더라도 2보전진을 위한 1보후퇴라는 좀 더 넉넉한 마음’으로 바라볼 것을 당부했습니다. 물론 마을 현장은 서울시의 전면적인 마을 정책 변화로 인해 큰 혼란에 빠진 것은 사실이라고 홍수만 대표는 전했습니다. “광역단위에서 정책사업이 축소되거나 멈춘 것에 대해 통탄을 금치 못하는 분들이 많습니다. 마을이라는 게 민관거버넌스로 이뤄져야 하는데 관의 역할이 다 끊긴 상황이니 10여년 동안 이만큼 해놓은 것마저도 다시 후퇴할 수밖에 없다는 아쉬움과 부정적 인식이 큰 편입니다. 주민 입장에서도 ‘우리가 뭔가를 더 못하나 보다’하는 목소리가 많습니다.” 그러나 마을이라는 것은 100년을 바라보면서 일궈야 하는 것이라고 단언한 홍수만 대표는 10여 년의 마을정책 역사를 가진 우리나라는 아직 걸음마 단계라면서 “프랑스혁명도 과정에서 왕정으로 퇴행하기도 했습니다. 하기에 현 시기를 2보전진을 위한 1보후퇴로 봅시다. 지난 10여 년간 마을이 양적으로 확장된 것은 분명합니다. 그러나 속도가 너무 빨랐습니다. 앞으로는 더 작은 민주주의가 필요합니다. 결과를 중시하는 공모사업, 정책사업보다는 과정에 집중하는 마을활동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. 한마디로 사업중심이 아니라 관계망 중심으로 확대해야 합니다. 다양한 주민들의 욕구를 공동체에서 담아내고 주민들이 마을활동의 성과에 공감할 수 있는 형태를 모색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.” 홍수만 대표는 마을총회도 공모사업이나 정책사업에 집중하지 말고 정책을 제안할 수 있는 총회를 만드는 방향으로 고민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. 정책사업에 집중하다 보면 정책사업의 목적지향성 때문에 아무래도 앞만 보며 달리게 되지만 주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이해하고 이를 정책에 담아낼 수 있는 교두보를 확보한다는 차원에서 마을운동을 펼치면 과정이 성장하는 마을을 만들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. 홍수만 대표는 2012년 삼태기마을주민공동운영위원회 활동가로 마을활동을 시작했습니다. 지금도 마을활동가의 초심을 지키고자 애쓰는 홍수만 대표는 마을 앞에 닥친 큰 시련의 파고를 무사히 이겨내기 위해 ‘주민들의 욕구를 찾고 모으는 일’에 더욱 충실할 결심입니다. 다음은 홍수만 성북마을살이연구회 대표와의 인터뷰 영상입니다. 사진을 누르시면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. (촬영: 김성호 이사장 사진: 정해랑 3.1민회 부의장 진행: 박준영)
<저작권자 ⓒ 직접민주주의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>
댓글
|